4년 주기의 IT산업혁신과 비트코인 반감기에서 배우는 점 > 커뮤니티

본문 바로가기

4년 주기의 IT산업혁신과 비트코인 반감기에서 배우는 점

페이지 정보

작성자 라이더 작성일24-05-14 15:29 조회8회 댓글0건

본문

정부 가공식품 등 수입 원재료에 할당관세 확대 의지대상 품목 상당수 가공식품과 무관한 신선식품 위주국내 김 원재료 대부분 국산관세 인하 효과 글쎄 코코아 주수입국 이미 무관세기타 국가 관세도 미미 정부가 물가안정을 위한 주요 방안으로 가공식품 수입 원재료 관세를 한시적으로 낮춰주는 할당관세를 적극 활용키로 했지만 가공식품 업계 반응은 시큰둥합니다.
그간 할당관세 적용 대상 품목에 가공식품과 직접적 관련성이 떨어지는 신선식품이 주를 이뤄서다. 일부 주요 원재료에 할당관세를 적용한 적은 있지만 관세 인하 폭 자체가 미미해 사실상 실효성이 없다는 목소리가 함께 나옵니다. 서울 한 대형마트에 진열된 초콜릿 제품들. 농림축산식품부는 14일 브리핑을 열고 가공식품 물가 안정을 위해 수입 원재료에 대해 낮은 할당관세를 추가 적용하거나 연장하는 방안을 적극 검토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정부는 일환으로 지난 10일 배추와 포도 코코아 양배추 당근 마른 김 조미 김 등 7종에 대해 새로 할당관세를 적용하기도 했습니다. 가공식품 업계에선 정부 노력 자체에 환영의 뜻을 밝히면서도 실효성은 그리 크지 않다는 입장입니다. 정부가 물가안정을 기치로 꾸준히 활용해 온 할당관세 적용 품목이 실제 가공식품의 원재료와는 다소 거리가 먼 신선식품에 집중돼 있어서입니다. A사 관계자는 할당관세를 적용하는 품목은 지난해 말과 올해 초 가격급등 이슈가 거셌던 과일 등 농산물과 축수산물이 대부분이라며 가공식품 업체들의 원가 절감엔 큰 관련성이 없다고 했습니다. 마른 김 조미 김에 적용하는 할당관세와 관련해선 사실상 효과를 누리는 국내 업체는 없을 것이란 분석도 나옵니다. 국내 대부분 김 업체들의 제품은 국산 원초 를 원재료로 하고 있어 당장 수입 마른 김 조미 김 관세와는 관련이 없어서다. 국내 뿐만 아니라 일본 중국 등의 원초 작황이 부진햐 마른 김이라도 값싸게 수입할 수 있게 해 이를 가공한 조미 김 가격까지 함께 낮추겠다는 게 정부 취지인데 수입산 김에 익숙지 않은 소비자들이 이를 구매할진 미지수입니다. B사 관계자는 인건비가 저렴한 태국 등에서 마른 김 조미 김이 수입되긴 하지만 수입량 자체가 미미한 수준이라 할당관세를 적용한다고 하더라도 김 가격에 어떤 영향을 미칠 지는 지켜봐야 할 것 같다고 했습니다.
제과업체들의 주요 원재료인 코코아에도 할당관세를 적용했지만 효과는 미미할 것이란 게 업계 중론입니다. 국내 제과업체들의 코코아 주요 수입국인 중남미는 이미 자유무역협정 이 체결된 무관세 지역이어서다. FTA를 체결되지 않은 지역의 코코아 역시 관세율 역시 2 안팎에 불과해 코코아 국제가격이 예년 대비 4~5배 뛴 현재 유의미한 인하 효과를 내기 어렵다는 지적입니다. C사 관계자는 의미가 없지는 않겠지만 코코아 가격이 폭등해서 현재의 할당관세율로는 역부족인 상황이라고 말했습니다. 한경 마켓PRO 텔레그램을 구독하시면 프리미엄 투자 콘텐츠를 보다 편리하게 볼 수 있습니다. 텔레그램에서 마켓PRO를 검색하면 가입할 수 있습니다. 휴먼빌 일산 클래스원 정성한 신한자산운용 알파운용센터장연초 이후 비트코인의 급등과 인공지능 산업의 급성장이 금융시장의 주요 화두가 되고 있고 지금도 진행형입니다. 공교롭게도 정확하게 일치하지는 않지만 4년 주기의 정보기술 산업의 혁신과 비트코인 반감기는 유사하게 겹쳐왔습니다. 2008년은 미국 금융위기가 도래했던 시기로 금융 역사의 뼈아픈 한 페이지를 차지했습니다. 반면 혁신적인 일도 그 해에 탄생했는데요. 아이폰 판매가 본격화된 시기이기도 합니다. 아이폰이 2007년 2G폰으로 출시되었으나 74일 만에 100만대 판매에 불과했습니다.
그러나 2008년 6월에 출시된 3G폰은 3일 만에 100만대를 판매하며 스마트폰 시장을 본격적으로 열기 시작합니다. 그리고 2008년 11월에 비트코인 프로젝트가 등록되었습니다. 4년 뒤는 또 어떤 일이 있었을까요2012년은 스마트폰 생태계가 급격하게 발전하면서 무선 통신 역시 빠르게 발전했습니다. 4G LTE 시장이 개화되면서 이후 몇 년간 스마트폰 관련 회사 및 부품사 통신장비 회사들의 눈부신 성장이 있었습니다. 2012년 11월 28일이 비트코인 첫 번째 반감기였고요. 4년 뒤인 2016년은 소위 빅테크 기업의 탄생이라고 볼 수 있는 서버 시장이 열렸습니다. 폭발적인 스마트폰 시장의 발전과 함께 많은 데이터를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저장할 수 있는 서버 시장이 필요했던 것이죠. 서버 관련 반도체가 쇼티지가 나면서 20에 삼성전자는 역대 최대실적을 기록합니다. 2016년 7월 10일이 비트코인의 두 번째 반감기였고요. 그로부터 4년 뒤인 2020년 코로나19로 인해 전 세계에 엄청난 공포로 경제활동이 모두 얼어붙고 수천만의 사망자를 내는 안타까운 참사가 발생합니다. 거리 활동이 어려운 상황에서 이미 스마트폰을 통해 축적된 많은 컨텐츠들이 디지털 플랫폼 경제를 통해 엄청난 수요가 촉발되었습니다. 그러면서 유튜브 인스타그램 메타버스까지 플랫폼 경제의 발전이 급격하게 이루어졌던 시기입니다.
2020년 5월 12일이 비트코인의 세 번째 반감기였으니 IT산업혁신과 비트코인의 반감기 시기가 우연치고는 비슷하다고 할 수 있겠습니다. 2024년 엔비디아 하드웨어의 폭발적 성능이 AI산업의 시기를 엄청나게 앞당기고 있습니다. 기존 B2B 에서부터 B2C B2G 까지 앞다퉈서 AI 투자가 일어나고 있고 확산 속도는 기업 개인 정부뿐만이 아니라 산업 역시도 IT산업에서 일반산업 바이오 기계 방위산업 등까지 빠르게 확산되고 있습니다. 이 시기에 얼마 전 2024년 4월 20일이 비트코인 네 번째 반감기가 시작됩니다. 특히나 비트코인 상장지수펀드 가 미국 증권거래위원회 에서 승인되면서 제도권으로 코인투자가 인정받는 역사적인 시기가 온 것입니다. 우연치고는 4년마다 IT혁신에서 큰 테마가 있었고 비트코인 반감기가 겹치면서 당시의 주도산업과 비트코인 상승은 매우 높게 나타났습니다. 그리고 단기에 일부 거품이 나타나 폭락하는 시기도 있었으나 결국은 살아남은 기업들은 지금까지 지속 성장해오는 공통점이 있습니다. 그 시기마다 보통 2년 정도는 모멘텀이 지속되면서 발전해왔는데 물론 그 시기에도 선발주자가 압도적으로 강했던 시기와 후발주자 중 따라잡으면서 살아남는 회사에도 큰 기회가 있었고 그렇지 못해서 사라지는 회사도 많았습니다. 즉 초기에는 투자 기회가 매우 많았고 이후에는 기회와 위험이 공존했다는 뜻입니다. 그러면 여기서 우리가 살펴볼 수 있는 점은 과연 과거처럼 이번 사이클도 매우 큰 거품이 형성될 때까지 더 지속될 것인가 그리고 이번 사이클이 끝나고 나서는 다음 사이클은 또 무엇이 나타날 것인가라는 질문은 계속해봐야 할 것입니다. AI 산업이 이끄는 어마어마한 시대변화에서 2024년은 아직 초기시장으로 보입니다. 아직 우리가 크게 실망할 제품이 나오지 않았고 계속해서 신제품이 나올 것이기 때문입니다.
오픈AI가 보여준 제품들에 이어서 향후에는 과거 AI의 끝판왕이었던 구글과 애플의 신제품들이 나올 것이고 2~3년 뒤에는 전기차 산업에서 핵심적인 자율주행 기술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습니다. 건강검진 판독에 AI가 사용되기 시작했고 세포치료제 초기 임상에도 AI가 도입될 정도로 많은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습니다. 우크라이나의 드론에 러시아 최강 함대가 격파되는 일은 향후 AI가 국방력에 더 많은 기능을 보여줄 수 있다는 의미입니다. 여전히 보여준 것보다는 보여줄 것이 많은 산업입니다. 새롭게 보여줄 분야에서 향후에도 수많은 투자 기회가 나타날 것입니다. 그러나 문제는 이 산업이 워낙 주목을 받다 보니 이미 알고 있는 기업들은 너무 고평가된 기업들이 많고 해당기업들은 훨씬 더 많은 스터디가 필요합니다. 그 기업들은 웬만한 투자자들이 다 보유하고 있기 때문에 매수할 사람보다 매도할 사람이 더 많기 때문입니다. 즉 AI 산업은 초기이나 초반 장악력을 보여준 기업들 중에는 매우 비싼 기업도 많다는 뜻입니다. 이러한 시기에는 새로운 차세대 기술을 보유한 기업들을 투자하는 방식도 있으나 웬만한 전문가가 아니면 쉽지 않을 것이고요. 그렇다면 기존 사업으로 돈을 꾸준히 벌고 있으면서 AI산업쪽으로 확대를 하고 있는 기업들이 조금 더 안전한 투자가 될 수 있습니다. 아니면 AI관련 주도기업과 안정적인 자산을 동시에 투자하면서 리스크를 낮추는 방식도 있고요. 중요한 점은 주도 산업에서의 뒤늦은 과도한 투자는 지양하되 다음 사이클 투자를 위해서 일부라도 투자를 해보면서 지속적인 스터디를 하는 것은 지향해야 할 것입니다.
이번 투자 시기를 놓치면 다음 4년 뒤에도 또 다른 IT산업 혁신이 나올 것이며 이 흐름을 쫓다 보면 이번이 아니더라도 다음번 시기에 좋은 투자 기회가 또 올 것이기 때문입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TOP

주소 : 경기도 남양주시 경강로 261번길 99 (삼패동 246-1)
전화번호 : 031-572-4567 모바일 : 010-4176-4454 팩스번호 : 031-572-4040
사업자등록번호 : 655-05-02098 입금정보 : 신한은행 110-530-367258 김성진 (성진 책표지)
상호명 : 성진 책표지 대표 : 김성진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김성진(book8717@naver.com)

COPYRIGHT(C) 성진 책표지 ALL RIGHTS RESERVED.